ジンダルレ広島市韓国語教室の受講する場所は生徒さんが自由に選ぶことができます。

 

 

ジンダルレ韓国語教室  韓国伝統の風物遊びご紹介(풍물놀이)

風物遊び楽器の名前 특징 및 주법
꽹과리
韓国伝統楽器クェングワリ

① 꽹과리는 모양과 제도에 있어서는 징과 같지만 채는 징채와는 달리 헝겊을 감지 않고 친다. 이 때문에 징소리보다 맑고 높은 소리가 난다.
② '쇠'라고도 불리며 농악에서는 그 음색이 강하고 높은 것을 수꽹과리라 하여 상쇠(上釗)가 치고, 음색이 부드럽고 낮은 것을 부쇠(副釗)가 친다. 농악놀이의 전 과정은 상쇠의 지휘에 따라 진행된다.
③ 꽹과리를 가슴 중앙의 위치에 오도록 하고, 보통 꽹과리의 중앙보다 조금 윗 부분을 친다.
④ 음색을 조절하기 위하여 좀 더 바깥 또는 중앙 부분을 치기도 하며, 가락을 칠 때는 꽹과리면과 나란히 굴려 친다.
⑤ 왼손은 꽹과리의 안쪽 바닥에 대거나 떼는 동작을 함으로써 소리를 조절한다.
⑥ 음의 조절 방법은 연주자의 능력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 오른손으로 치기 직전에 대고 뗀다.


韓国伝統楽器ジンー

① 원래 징은 북과 함께 군대에서 쓰였는데, 북소리는 앞으로 나가라는 신호이고, 징소리는 후퇴하라는 신호였다. 그 후 태평소, 나발, 나각, 북 등과 함께 대취타(大吹打)에 쓰였고, 불교 음악과 무악, 농악에서도 사용된다.
② 정, 금정, 금, 금라, 나 등의 여러 이름이 있으나 모두 같은 종류의 악기이다. 오악, 무속음악에서 징과 꽹과리는 같이 사용되며 꽹과리는 잔가락을 치고, 징은 본점(本點)만을 친다.
③ 징을 칠 때는 징 채를 짧게 잡고 징의 한 가운데를 부드럽게 밀듯이 쳐야 소리가 되바라지지 않고 웅장한 소리를 낸다.
④ 징은 연주가 다양하지 못한 점이 있으나 여유가 있어 춤으로 신명을 표출하기가 좋다.


韓国伝統楽器ブク

① 북은 잔가락을 엮어가는 것이 주가 아니므로 다양한 가락의 연주보다는 박을 힘있게 짚어 가면서 그 기상을 힘찬 춤으로 펼쳐 나간다.
② 지방에 따라 북을 왼쪽 무릎에 올려놓고 치기도 하지만 발목 위에 얹어놓고 몸으로부터 약간 떨어지게 하는 것이 힘있는 연주에 도움이 된다.
③ 서서 연주할 때에는 북 끈을 왼쪽 어깨에 멘다. 북통은 왼쪽 허벅지 부근에 비스듬히 대고 왼손으로 북통 머리를 잡고 친다.

장구
韓国伝統楽器ジャング

① 장구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고려 문종때이고, 고구려 고분벽화와 신라의 범종에 장구가 보인다. 삼국시대의 요고는 모두 무릎 위에 놓고 칠 정도로 작은 것이었는데 고려 이후의 장구는 크기가 커졌다. 오른손에 채를 들고 치고 왼손으로는 북편을 친다.
② 장구에는 정악장구, 풍물장구, 무속장구의 3종이 있다. 정악장구는 허리가 가늘어서 '세요고'라고 불린다. 북편은 두꺼운 가죽을 사용하여 소리가 무겁고 채편은 얇은 가죽을 써 맑고 높은 소리가 난다. 장구의 통은 사기, 기와, 나무 등을 쓰는데, 기와는 좋지 않고 나무는 오동나무가 좋다.
③ 풍물장구는 그 모양과 제도가 정악장구와 같지만 조금 작고, 통에는 아무런 색칠도 하지 않는다.
④ 무속장구는 풍물장구와 모양과 제도가 같지만 지역에 따라 그 크기가 다르며, 무가반주에 쓰인다.
⑤ 농악과 무악장구에는 정악장구와 달리 북편은 궁글체나 방망이, 채편은 가는 채를 사용한다.

소고
韓国伝統楽器ソゴ

① 풍물굿에 쓰이는 작은 북을 소고하고 한다. 가벼워서 장단마다 첫 박에 한 번씩 치며 춤추기도 하고 장단을 쳐 나가기도 한다.
② 농악, 입창, 민속무 등에서 사용되는데 악기로서의 기능보다는 무구로서의 기능이 더 앞선다. 왼손으로 북의 손잡이를 잡고, 오른손에 작은 북채를 들고 친다.

날라리(태평소)
韓国伝統楽器テピョンソ

① 호적이라고도 하며 원래 이름은 새납이고 이 새납은 '소이나'에서 온 듯하다. 속칭 '날라리'의 이름은 그 음색에서 온 것이다. 중국에서 이 악기를 '소이나' '쇄나'라고 한다.
② 태평소는 원래 회족에서 즐겨 쓰던 악기로 이 이름도 희랍어에서 온 것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말 조선초 즉 14세기 말에 중국에서 들어와 군중에서 대취타 또는 행진할 때 사용하였다. 현재는 불교음악, 농악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③ 관은 피리와는 달리 원통형이 아니라 원추형이다. 관의 아래쪽 끝에는 동으로 만든 동팔랑을 만들어 붙인다. 서는 갈대로 만든 작은 것인데 서를 꽂는 윗쪽에는 동으로 만든 동구가 따로 있고, 이 동구 끝에 서를 꽂아서 분다. 지공은 전부 8개이고 그 중 제2공은 뒤에 있다. 음색이 강하고 높다.